![[Network] CNAME 레코드와 A 레코드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1KnXl%2FbtsE6DqBAk9%2F9NnHqAkEAv2JdYPQL2wEW1%2Fimg.png)
[Network] CNAME 레코드와 A 레코드란?카테고리 없음2024. 2. 19. 23:06
Table of Contents
A 레코드
A 레코드는 도메인 주소와 서버의 IP 주소를 직접 매핑시키는 방법입니다. naver.com 으로 요청하게 되면 DNS 테이블에 저장된 naver.com을 찾아 223.130.195.200 에 요청하게 됩니다.
NAME | TYPE | VALUE | ||||||
naver.com | A | 223.130.195.200 |
장점
- 도메인에 직접 IP 주소를 설정하여, 도메인을 해당 IP 주소로 연결할 수 있다
- CNAME 레코드보다 빠른 조회 시간을 가진다
- 서브 도메인에 대한 설정이 자유롭다
단점
- IP 주소가 변경되면 A 레코드를 직접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관리가 번거롭다
CNAME 레코드
캐노니컬 네임 레코드(Canonical Name record)를 줄여서 CNAME 레코드라고 합니다. CNAME은 하나의 도메인 네임을 다른 이름으로 매핑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DNS 테이블이 다음과 같을 때
NAME | TYPE | VALUE | ||||||
naver.com | A | 223.130.195.200 | ||||||
naver.example.com | CNAME | naver.com |
naver.example.com -> naver.com -> 223.130.195.200으로 최종적으로 호출하게 됩니다.
장점
- 하나의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연결할 수 있다
- 원본 도메인의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CNAME 레코드만 관리하면 된다
- IP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 A 레코드만 IP 주소를 업데이트하면 된다
단점
- 추가적인 DNS 조회가 필요해 성능이 약간 저하된다
- CNAME 체인이 발생한 경우 조회 시간이 증가한다
-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단위로만 설정할 수 있어, 서브 도메인에 대한 설정이 제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