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전공자의 정보처리기사 실기 1주일만에 합격하기 (94점 / 100점)
    etc 2024. 7. 29. 17:19

     

    저는 컴퓨터공학 4학년 학부생이며 2024년도 2차 정기 기사 시험을 쳤습니다. 

     

     

    일주일 동안 어떻게 공부를 했는지 공유해보겠습니다.

    1. 공부 기간을 너무 길게 잡지 말자.

    저는 실기가 아닌 필기를 공부할 때 3주를 학습하였습니다. 당시에는 뭐가 그렇게 불안했는지 정보처리기사에서 요구하는 모든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해야겠다는 압박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긴 시간을 잡고 공부를 하였는데, 막상 하다 보니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 내일부터 하자", "이 내용은 나중에 하자" 이런 식으로 미루는 제 자신을 보았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실기를 칠 때는 준비 기간을 확 줄여서 한 번에 집중해서 끝내자 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컴퓨터공학 지식이 부족한 경우 좀 더 기간을 잡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2. 기출문제 경향을 파악하자.

    정보처리기사 실기 출제 과목

     

    정보처리기사 실기의 경우 위 사진처럼 12과목에 대한 지식을 요구합니다. 이를 보자마자 느꼈던 것은 "이론서를 보고 공부할 자신이 없다" 였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서 책분량이 1200페이지가 됩니다.. 따라서 출제되는 문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서

     

    따라서 정보처리기사가 개정된 20년도부터 출제 경향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나오는 문제들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특히나 프로그래밍(자바, C언어, 파이썬)에서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고, 각 회차당 대략 10문제가 출제됩니다. 실기의 경우 총 20문제가 출제되고 100점 만점입니다. 여기서 프로그래밍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제가 이번에 시험 친 2회 차의 경우 SQL을 포함한 프로그래밍의 경우 10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실기의 경우 60점을 넘기면 합격이 되는데 10문제를 다 맞추면 50점이 되고  남은 2문제만 맞추더라도 합격이 됩니다. 즉, 프로그래밍 문제만 다 맞아도 거의 합격이라는 말이 됩니다.

    20~23년도 실기 문제 경향 - 2
    20~23년도 실기 문제 경향 - 3

     

    따라서 12개의 과목에 대해서 완벽하게 공부하는 것보단 프로그래밍을 완벽하게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24년도 2회 차의 경우 프로그래밍 문제가 대략 10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을 먼저 완벽하게 끝내시고 나서 소프트웨어 구축 및 테스트 방법, 네트워크, 운영체제 위주로 공부하시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는 이론서를 구매하지 않았고 이론서를 요약한 자료를 구매해서 공부했습니다. 인터넷에 검색하시면 요약본을 무료로 공유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유료로 판매하시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이론을 습득하기 위해서 요약 페이지가 적으면서도 질이 좋은 요약본을 구매했습니다.

    이론서 요약본

     

     

    3. 반복해서 학습하자.

    반복해서 읽었던 내용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라던지 어려운 부분은 이해를 먼저 하고 반드시 반복해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디자인 패턴과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과목이 글로만 보기에는 이해하기가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따라서 구글에 관련 내용을 검색하여 그림을 기반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했고 따로 정리도 하여 반복해서 읽었습니다. 

     

    시험을 치러 가는 지하철에서 사진에 있는 내용을 반복해서 읽었고, 이번 2회 차 시험에서 결합도, 응집도, VPN, 디자인 패턴, 라우팅이 나왔습니다. 정리한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5문제를 맞을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라던가 불안한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정리해야 합니다. 

     

     

    4. 마지막으로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률

    정보처리기사 실기의 경우 합격률이 대략 20~30% 정도 된다고 합니다. 22, 23년도의 경우 20프로를 웃돌고 있기 때문에 비전공자와 전공자 모두에게 쉽지 않은 시험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시작 전부터 불안해하는 것보단 일단 마음먹고 열심히 공부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래의 경우 2024년도 2회 차에서 출제된 문제인데, 프로그래밍이 9문제가 출제되었고 SQL의 경우 1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제가 느낀 바로는 프로그래밍 과목에서는 이해를 하고 있는지 요구했던 것 같습니다. 특히나 재귀함수가 여러 문제 출제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20~23년도 기출문제에 나오지 않았던 자바 람다식 문제도 출제되었습니다. 기출문제를 푸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암기가 아닌 이해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람다식이 24년 2회 차에 처음으로 나왔던 만큼 새로운 유형이 계속 생길 것으로 생각합니다.

     

     

    24년도 2회차 출제 문제 - 1
    24년도 2회차 출제 문제 - 2

     

    24년도 2회차 출제 문제 - 3

     

     

    제가 공유할 부분은 여기까지인 것 같고 위 내용이 실기 준비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에 네트워크 과목에서 호스트 주소 구하기, 브로드캐스트 주소 구하기 등 유형이 나오지 않았는데 24년 3회 차에는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