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영체제] 지역성(Locality)에 근거한 캐시(Cache)를 사용하는 이유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연산 속도CPU 레지스터 > CPU 캐시(Cache) > 메인 메모리(RAM) > 하드 디스크(HDD) 2. 캐시(Cache)를 왜 사용할까?메모리가 CPU 속도를 따라오지 못한다.CPU 성능은 빠르게 향상되었지만, 메모리의 처리 속도는 이를 따라오지 못했다. 아무리 CPU의 처리 속도가 빠르더라도 메모리 속도가 이를 따라오지 못한다면 시스템 성능은 저하될 수밖에 없다.메모리와 CPU 간 속도 차이로 작업이 지연된다.CPU는 초당 수십억 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지만, 메인 메모리는 그 속도를 따라오지 못한다.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메모리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쓰는 과정이 필요한데, 메모리 속도가 느리면 CPU는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 CPU가 메.. [알고리즘-자바] Floyd-WarShall 알고리즘 플로이드 와샬 모든 정점에서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정점 [A, B, C, D]가 존재할 때 A->C로 이동하기 위해서 중간에 B를 거치거나 D를 거쳐 갈 수 있습니다. B와 D를 거치는 게 A->C로 가는 것보다 더 짧은 거리로 이동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는 지나갈 수 없는 경로를 다른 정점을 거쳐 지나갈 수 있는 경로가 되기도 합니다. 다음 방향 그래프가 존재합니다. 무한대의 의미는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ex. 정점A -> 정점C 정점A 정점B 정점C 정점D 정점A 0 4 무한대 6 정점B 3 0 7 무한대 정점C 5 무한대 0 4 정점D 무한대 무한대 2 0 위의..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