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acy
-
[Spring] Spring Bean이란?legacy/Spring 2024. 6. 24. 21:41
Spring Bean (스프링 빈)이란?IoC 컨테이너에 의해 프레임워크로부터 생성되고 관리되는 자바 객체를 의미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을 등록하는 방법1. @ComponentScan에 의한 자동으로 Bean 등록@Component가 붙은 애너테이션을 사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자동으로 Bean으로 등록된다. @Component가 붙은 대표적인 애너테이션은 다음과 같다.@Controller@Service@RepositoryControllerUserController는 UserService에 의존한다.@Controller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
-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과 IoC(Inversion of Control)legacy/Spring 2024. 6. 24. 20:30
DI (Dependency Injection)다른 프레임워크와 달리 스프링은 의존 관계 주입이라는 차별점을 갖는다.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프레임워크에서 객체를 생성한 후 주입해 주는 방법이다. 방법 1.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생성한다.A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개발자가 생성자를 사용하여 B와 C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이다.즉,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객체를 생성하여 주입하는 방식이다.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new UserRepository(); public User findUser(String userId) { return userRepository.f..
-
[네트워크] HTTP 메서드 종류, GET POST PUT PATCH DELETE HEAD OPTIONSlegacy/Network 2024. 5. 25. 10:48
1. GET 요청서버에 저장된 리소스를 조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쿼리 스트링에 포함하여 서버로 전달한다.ex. example.com/posts?id=3쿼리 스트링이 아닌 메시지 바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나, 이를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으므로 권장되지 않는 방법이다.리소스 조회 후 캐시에 저장하고, 이후에 동일한 데이터 조회 시에 서버로의 요청을 가로채어 캐싱된 데이터 복사본을 반환한다.리소스를 정상적으로 조회하면 200 OK를 반환한다. 2. POST 요청서버에 새로운 리소스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서버로 요청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메시지 바디에 포함한다.ex. example.com/posts메시지 바디{ "content":"test", "usernam..
-
[네트워크] GET과 POST 차이점legacy/Network 2024. 5. 24. 23:40
1.HTTP GET1-1. GET 요청이란?GET 요청은 클라이언트 → 서버로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 즉, 서버에서 관리하고 있는 자원을 요청하는 것이다.ex. 게시물 조회 GET 요청의 경우 **쿼리 스트링(query string)을 사용한다. 요청 URL의 끝에 ‘?’을 붙이고 key=value 형식으로 요청한다. 이 때, 여러 개의 (key, value가) 사용된다면 ‘&’를 사용하여 구분한다.ex. example.com/posts?var1=value1&var2=value… 서버에서는 엔드 포인트 뒤에 붙은 쿼리 스트링을 받아서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다. 1-2. GET 요청 특징GET 요청은 캐시가 가능하다.동일한 자원에 대해서 반복되는 GET 요청은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캐..
-
[운영체제] 페이지 매핑 테이블 심화legacy/Operating System 2024. 5. 13. 17:37
페이지 매핑 테이블의 주소 매핑각 프레임(또는 페이지)은 여러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예를 들어, 2번 프레임의 경우 시작주소가 22번지이고 23, 24, 25 ... 여러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페이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형식으로 논리 주소에 접근한다.페이지 번호: 접근하고자 하는 페이지 번호변위: 페이지가 적재된 프레임의 시작 번지로부터 떨어진 주소페이지 매핑 테이블을 통해 에서 로 변경된다. Ex) CPU는 2번 페이지가 적재된 5번 프레임의 시작 번지 67에서 2만큼 떨어진 69번지에 접근한다. 페이징 매핑 테이블이 갖는 4가지 비트유효 비트페이지가 메모리에 적재되어 있는지 구분하는 비트프로세스 단위가 아닌, 페이지 단위로도 스와핑이 가능하다. 단, 불연속적인 메모리 할당 기법에서만 적용된다...
-
[운영체제] 연속 메모리 할당 방법과 단편화legacy/Operating System 2024. 5. 12. 00:30
연속 메모리 할당연속 메모리 할당이란 메모리 영역 중에서 요구하는 메모리 크기만큼 연속적인 공간을 찾아 할당하는 방식이다.즉, 프로세스를 연속적인 공간에 할당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스와핑 설명에 앞서, 스와핑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 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적재되어야 한다. CPU는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세스 중에 현재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 또는 IO작업으로 인해 대기 상태인 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다.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는다면 굳이 메모리에 상주할 필요가 없다.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적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이때,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스를 메모리에서 보조기억장치로 보내는 것을 스왑아웃(swap-out)이..